사람살리는기술로함께

사람 살리는 덕트 기술로 함께 행복한 급식문화조성

경기도형 급식환기솔루션

음식물처리기 VS 개발

음식점 배수관 막히는 현상의 이해(1)

송유성[솔바] 2007. 1. 6. 01:06

음식점,식당,푸드코트의 배수관

              막힘현상,이렇게 해결한다.

 

 

음식물이 버려지는 배수관에 음식찌꺼기에 의해 막히는 현상에 대해 원인을

알아보고 예방적차원에서 할수 있는 해결방법을 제시해 보자.

 

점심이나 저녁시간때,연말 연시등과 같이 손님이 많이 몰리는(?)시간에는 

주방에서는 음식준비와 다먹고 남은 음식물과  설걷이가 빠른 속도로 같이 진행

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상황에서 음식점을 창업하고 운영하다보면 왕왕 하수

관이나 배수관이 막혀 배수가 되지 않아 하수의 범람등으로 주방이 엉망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림1. --배수관내부의 모습 

 

배수관이 음식물과 하수가 함께 배출되면서 흘러내려가는 이유는 그림과 같이 기울기(구배)를

주어 물과 함께 음식물찌꺼기가 배수관내 적층되지 않고 흘러내려갈수 있도록 시공한다.

 

그러나 지금의 창업한 음식점의 90%이상이 이런 배수관의 시공형태에 대한 검토없이 바로 사용

하고 있으며 설계당시의 식당용처럼 배수량이 많은 곳은 구배를 많이 주어 배수관경을 크게 설계

하는데 이런식으로 고려하어 건축물에  식당이나 음식점 입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림2 - 구배불량,설치관경의 부족등으로 음식물찌꺼기가 일부 퇴적되어 배수관에 잔존

 

 

시공시 필요한 기울기및 하수량을 고려치 않고 시공시 그림2와 같이 정상배출후에도 음식물

찌꺼기와 조리중 설겆이중에 함께 배출되는 기름성분이 퇴적하게 된다. 이때 조리과정에서

발생돠는 기름성분은 열에 의해 물에 녹아 있게되며 이것이 그리스트랩에서 제거하지 못하고

그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림-3. 에멀죤된 유지성분이 잔존 퇴적된 음식물과 응고 하여 배수관을 막는다.

 

 

음식찌꺼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기름성분이

               배수관이 직접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결국 유지성분이 섞여  배출된 하수는 어느정도 배출되다가 식으면서 녹아있던 유지성분이 응고

되어 배수 일부를 막게 되며 이로러인해 배수관이 시원하게 배출되지 않는다.

 

 

그림-4 유지성분의 응고는 다시 음식물찌꺼기를 대량으로 잔존 퇴적시킴으로서 하수관이 막히게 된다.

 

그림과 같이 유지성분에 의해 응고된 배수관에 다시 음식물이나 찌꺼기가 배출되어 다시 막히게 되며

그막힌 음식물과 기름성분이 유지류가 다시 응고되면서 음식물이 경화가 되며 그 퇴적층마져도 길게

막히게 되는것이다.

 

하수관이 막힐때는 어느 일순간 막히지 않고 서서히 퇴적되면서 배수관의 흐름이 방해되다가 일정시간

다시 그런것이 해결되지 않으면 그 상부에 다시 퇴적되며 나아가 그 꼬리가 참 긴게 분포되면서 서서히

막히게 된다. 아마도 이런 하수관 막힘이 지속적이며 아주 조금씩 진행되는것 때문에 방심하다가 결국

크게 막히고 난후에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하수관막힘현상에 대해 이해하고 나아가 예방적차원에서의  종사원이 스스로

음식물찌꺼기를 별도로 배출한다거나 기름성분이 직접적으로 하수관에 배출되지 않도

록 많은 노력을 기울려야 한다.

 

 

 

출   처 : 다음 블러그 http://blog.daum.net/zztop73

검색어 : 하수관막힘현상,하수관막힘예방책,

지식창조 : 보냉가설 솔바(송형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