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살리는기술로함께

사람 살리는 덕트 기술로 함께 행복한 급식문화조성

경기도형 급식환기솔루션

급식실개선 4

급식실 전기식 가스국솥 사용기 안전한 전기콘센트 설치방법이란?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외부에는 내부가 보이는 PE계열의 전기판넬로 1차보호장치로 물이나 청소시 방수가 되도록 하며 2차는 혹시 결로나 습기에 의한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누전차나기일채형 콘센트설비를 설치하도록 합니다 전선관은 누수나 화재,열기등을 보호하기위해 전선관으로 시공하여 벽체에 고정하여 누수,습기, 방수가 가능한 1차 PE보호판넬과 누전차단기 일체형 콘세트를 설치하여 안전한 전기식 가스국솥의 전원공급공사를 하여 누전이나 습기피해가 없도록 하는것이 좋을것입니다 시공방법은 시공절차데로 사진을 나열하면서 시공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전기식가스국솥을 동;ㅂ하는 학교나 급식실에서 다음의 시공법을 참조하셔서 안전한 시공이 되도록 합시다. 1) 공간의 지정위치 선정하여 전기식 가스국솥에 좌,우타입인지..

경기도형솔루션 : 급식실 온열환경은 주범은 '후드의 배기불량이 원인'입니다

조리실 실내온도를 상승시키는 주범은 고온 다습한 수증기가 주원인이다 , 수증기는 일반 공기의 539배 많은 열량을 내포하고 있어 실내온도를 금방 상승시키는 전열온도의 주범이다 다시말해 조리실의 온도를 외부 상온보다 10도 정도 더 상승시키는 원인인것이다 관류보일러를 이용하는 증기식 회전국솥을 사용하는 경우 국솥에서 발생한 연기가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즉각적으로 후드로 즉시 빨려 올라가야 한다 이렇게 배기후드의 정압부족과 풍량이 부족하면 바로 후드의 개구면으로 수증기가 미쳐나가기전에 후드 외부로 이사진처럼 밀려나오게 된다. 전형적인 배기부족후드와 특히 흡입력인 정압부족이 발생할때 나타는 현상이다 이런 증상을 보이고 있는 급식 조리실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배기덕트크기 부족과 송풍기의 정압부족이라고 생각하면 틀..

경기도형솔루션 : 파티클카운터를 활용한 배기개선후 급식실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안전을 서비스하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기준을 정부는 지난해 3월 27일 PM2.5에 대한 일평균 환경기준을 ㎥당 50㎍에서 ㎥당 35㎍으로, 연평균 환경기준을 현행 ㎥당 25㎍에서 15㎍으로 각각 강화했다. 기존에는 ㎥당 PM2.5 농도가 51~100㎍일 때 ‘나쁨’,101㎍ 이상일 때 ‘매우 나쁨’이었지만 현재는 36~75㎍이 ‘나쁨’, 76㎍ 이상이 ‘매우나쁨’으로 고시된다. 현재측정치는 가. 측정장치 :복합측정기 pico (1)측정장소 가스국솥 하부 (2)측정치 1)초미세먼지(PM2.5)는 88㎍~96㎍ 2)미세먼지(PM10) 111㎍~120㎍ 3)온도 9~10deg 4)습도 95~96% ( 측정당시 측정기주변이 물방울이떨어져서 과다측정) 5)휘발성유기화합물(voc) 2ppm 6)co2 413ppm 나.측정장치 : ..